제조 방법에 따른 천연비누의 분류
1)녹여붓기 비누(Melt & Pour Soap)
-예상 시간: 약 40~50분
-비누 베이스를 녹여 자신의 피부 타입에 맞게 에센셜 오일, 베이스 오일, 허브 등을 첨가하여 만드는 비누로 MP비누라고 불리우며 처음 비누를 만드시는 분들에게 적합하며 만들어진 MP비누는 굳으면 바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jayonmiin special point
*MP비누(녹여붓기) 만드실 때 오일의 첨가량은 보통 3% 정도 사용하시면 되고 효능을 높이기 위해서
약 5% 정도 첨가하셔도 된답니다.
*거품을 잘 내기 위해서는 첨가물의 비율을 약 2% 이내로 조절하는 것이 좋으며 첨가물을 5%이상
첨가할 경우 비누의 거품과 사용감이 조금은 떨어집니다.
*비누 베이스 1kg를 사용하시면 약 80~90g 정도의 정성이 가득 담긴 천연비누가 12개 정도 탄생합니다.
2)저온법 비누(Cold Process Soap)
-예상 시간: 약 60분
-베이스 오일에 가성소다액을 혼합하여 만드는 비누로 CP비누라고 불리우며 가장 기본적인 천연비누이며 자신의 피부 타입과 사용 목적에 맞게 재료를 선택하여 나만의 맞춤형 비누를 만들 수 있으며 만든 비누는 약4주~6주 숙성 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cp< span=””><저온법 비누 만드는 방법>
1.앞치마,고무장갑,방진마스크를 착용하고 가성소다와 증류수를 각각 계량하여 놓은 후 가성소다를 꼭 증류수에 넣어 주걱으로 저어가며 신속히 녹입니다.
2.베이스 오일들을 전자저울로 정확히 계량해 45~50도 정도로 온도를 맞추어 줍니다.(될 수 있으면 중탕으로…온도를 맞추어 줍니다.)
3.가성소다액도 45~50도 정도로 온도를 맞추어 줍니다.(2.3번의 온도가 같아야 됩니다)
4.베이스 혼합오일에 가성소다액을 천천히 부어주며 알뜰주걱으로 빠르게 한 방향 (핸드블렌더가 도는 방향)으로 저어주어 트레이스 상태를 만듭니다.(핸드 블렌더를 사용할 경우 비누화과정이 쉬워져 비누를 쉽게 만들 수 있으며 5초씩 잠깐 돌려주고 손으로 5분 젓고 하기를 반복합니다.)
5.트레이스 상태가 된 비누 액에 한방가루, 기타 첨가물을 넣어 저어줍니다. (한방가루를 넣을 경우 가루가 잘 풀어지도록 주의하셔야 합니다.)
6.비누 액을 비누몰드(틀)에 넣어 밀봉해 수건으로 싸거나 아이스박스에 넣어 하루 이틀정도 보온 시킵니다. 이 때 보온이 과하면 젤화상태가 일어납니다. (사용하는 데는 지장이 없으나 비누가 좀 무르게 되고 색이 칙칙해진답니다)
7.보온이 끝나면 비누를 꺼내 말린 후 굳기를 확인 후 원하는 사이즈로 잘라 서늘하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 4주 이상 숙성 시킵니다.
*숙성기간이 필요한 이유: 강알칼리였던 비누 액이 숙성기간을 통해 중화되어 피부에 맞는PH로 변하기 때문에…8.4주~6주 숙성기간이 끝난 후 PH 테스트를 해서 PH가 7~9 정도 나오면 사용합니다.
*PH 페이퍼 사용법: 숙성기간이 끝난 비누에 물을 묻혀 살짝 문질러 거품을 낸 후 PH페이퍼를 적당량 잘라 거품에 대본후 색상이 변하면 색상대조표를 보고 산도를 확인합니다.
*천연비누의 유효기간: 이렇게 만들어진 비누의 유효기간은 1년 정도입니다.
3)고온법 비누(Hot Process Soap)
-예상 시간: 약 60분
-베이스 오일에 가성소다액, 가성가리액을 혼합하여 만드는 비누로 HP비누라고 불리우며 저온법 비누와는 달리 비누화가 되면 중탕 등의 방법으로 열을 가하여 만들기 때문에 처음에는 MP, CP비누를 충분히 만들어 본 후 HP비누를 만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만든 비누는 약 2주~3주 숙성 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온법 비누(Hot Process Soap)-투명비누 레시피 작성 방법>
HP(Hot Process)는 CP(Cold Process)와는 다르게 비누 분을 투명하게 하는 용제라는 개념을 필요로 하며 시간과 작업과정이 더 요구됩니다.
또 투명비누는 크게 순비누와 용제로 나누어 계량합니다.
-순비누=유지성분(베이스오일)+가성소다이고
-용제=정제수, 알코올, 글리세린, 설탕을 말합니다.
1.순비누(베이스오일+가성소다)의 중량을 결정합니다.
(투명도를 원하는 경우 팜을 많이 사용하는 것이 투명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됩니다. 코코넛오일은 투명도를 떨어뜨리는 요소로 작용함으로 팜오일보다 작은 비율로 적용하고 피마자유는 투명도를 높여주기는 하지만 비누가 물러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베이스 오일 구성:팜오일 350g:코코넛오일 210g :피마자유 140g=700g
(팜오일 5: 코코넛오일 3 : 피마자유 2)
가성소다:(350*0.141+210*0.19+140*0.128)=107g(0% DC)
순비누의 양:700g+107g=807g
2.용제(Poyol:에탄올,증류수,글리세린을 합한 양)의 중량을 구합니다.
순비누:용제=55:45의 비율로 계산하면
용제의 양 → 807:용제=55:45
용제=660.2g
3.설탕의 양을 산출합니다.
설탕의 양은 순비누 량과 용제 량을 더한 중량의 8%로 계산합니다.
예) (순비누 807+용제 660)*0.08=117.3g
여기까지 계산하면 비누 전체 중량은 순비누(807)+용제(660)+설탕117)=1584g
4.나머지 용제의 중량을 각각 구합니다.
a.수산화나트륨 녹일물:오일중량의 33%
예) 700*0.33=231g
b.글리세린:비누 전체 중량의 9% 적용(8~12%이내)
예) 1584*0.09=142.5g
c.에탄올:순비누의 30%적용(30~35%이내)
예) 807*0.3=242g
d.설탕녹일 물:용제 중량-(가성소다녹일 물+에탄올+글리세린)
예) 660-(231+242+143)=44g
<재료의 주의사항>
1.투명비누를 만들 때 가장 필수적인 용제로 순도 95% 이상의 제품을 사용한다.
(에탄올은 발화점이 낮아서 가연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각별히 주의해서 사용)
2.증류수는 가성소다 녹일 물과 설탕 녹일 물이 필요하고 가성소다 녹일 물은 오일 중량에 따라 달라지며 설탕 녹일 물은 정확하게 계량하여 사용한다.
3.글리세린은 투명비누를 만들 때 가장 중요하지만 너무 많이 사용하면 너무 물러지고 표면에 물방울이 맺히게 된다
4.설탕은 글리세린과 같이 비누를 투명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글리세린과 마찬가지로 너무 많이 사용하면 비누가 물러질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투명비누레시피 : 유지성분(베이스오일) 700g>
원재료 | 중 량 | 총 량 | ||
순비누 | 베이스오일=팜오일5:코코넛오일3:피마자유2 | 팜오일 | 350g | 순비누양:베이스오일(700g)+가성소다 (107g)=807g |
코코넛오일 | 210g | |||
피마자유 | 140g | |||
가성소다=팜오일 49.35/코코넛오일 39.9/피마자유 17.923=107g | 107g | |||
용제중량 | 비율=순비누(5.5):용제(4.5)
용제=807g*45÷55=660.2g |
용제 중량:660g | ||
설탕 | 순비누와 용제 중량의 8%
(807+660)*0.08=117.3g |
설탕의양:117g | ||
비누 중량 | 순비누+용제+설탕 | 비누 중량:1584g | ||
글리세린 | 비누전체중량의 8~12% | 9% | 글리세린:143g | |
에탄올 | 순비누의 30~35% | 30% | 에탄올:242g | |
가성소다 녹일 물 | 베이스오일량의 33% | 가성소다녹일물:231g | ||
설탕 녹일물 | 용제중량-(가성소다녹일물+에탄올+글리세린)
660-(231+242+143)=44g |
설탕녹일 물:44g |
4)물비누
물비누는 HP의 액체 형태로 가성가리와 반응시켜 만든다.
주로 샴푸, 세제, 바디 클렌져 등을 만들 때 사용하며 페이스트(고체상태)로 만들어 2주 정도 숙성 후 희석해서 사용한다. 가성소다를 이용한 비누를 고체 비누, 가성가리를 이용한 비누를 물비누라고 한다.
<물비누 만들기 주방세제용-총 1.5kg(페이스트)>
사용한 재료: 코코넛오일 600g,팜오일 120g,피마자오일 130g
가성가리 양(7%오버카운트) : 221g, 가성가리희석용 정제수 : 221g
설탕:51g , 설탕희석용 정제수 306g
<만드는 방법>
1.오일계열을 계량하여 70-80도 정도로 가열합니다.
2.오일계열이 가열되는 동안 가성가리를 계량하여 정제수에 조금씩 넣으면서 녹여 줍니다.(70~80도)
독성이 있는 연기가 발생하므로 마스크를 착용하고 환기가 잘 되는 곳에서 합니다.
(반드시 정제수에 가성가리를 녹여줍니다. 반대로 가성가리에 정제수를 부으면 폭발반응이 날 수도 있어 위험합니다.)
3.오일계열과 가성가리용액이 70-80도 사이가 되면 가성가리용액을 오일계열에 붓고 섞어줍니다.
4.주걱과 블렌더로 트레이스를 내줍니다. (온도가 높기 때문에 트레이스 속도가 빠를 것입니다.)
5.CP비누 만들 때 보다 트레이스를 많이 내줍니다.(과트레이스)
6.주걱과 블렌더로 섞다보면 갑자기 빵처럼 부풀어 오릅니다.
7.트레이스를 내는 동안 설탕을 계량하여 정제수에 넣은 후 70-80도로 가열 하여 녹여줍니다.
8.점점 뻑뻑해지면서 블렌더가 돌아가지 않을 정도로 트레이스를 냅니다.(과트레이스)
9.과트레이스 상태가 되면 설탕용액을 붓고 잘 스며들도록 섞어줍니다.
10.페이스트가 설탕용액을 모두 흡수해서 끈적한 상태가 되면 지퍼 백에 넣고 밀봉해서
방안이나 거실에 보관해둡니다.
11.물비누 페이스트는 높은 온도에서 반응시키기 때문에 비누화가 대부분 진행되어 하루정도 지나면 희석해서 사용이 가능하지만 좀 더 순하고 사용 감을 좋게 하기 위해 2주 숙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물비누 페이스트 희석방법>
비중탕법 => 2주정도 숙성시킨 물비누페이스트 500g에 정제수 700g을 붓고 이틀정도 두면 다녹습니다.
중탕법 => 조금 더 빨리 사용하시려면 페이스트와 워터를 섞은 후 랩으로 싸서 중탕하시면 된답니다
일반적으로 cp비누 만들 때는 디스카운트를 해주지만, 물비누를 만들 때는 디스카운트를 하지 않고 정량을 넣어 주거나 오버카운트를 해줍니다. 세제로 사용할 때는 세정력을 높이고 오일감을 없애기 위해 오버카운트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물비누를 희석할 때 워터량은 페이스트의 0.5~3배까지 가능합니다.
→PH는 7~9가 적당합니다. PH가 이것보다 높게 나오면 피부에 자극이 될 수도 있습니다.
구연산, 레몬, 쥬스등으로 중화시켜줍니다.
5)리베칭 비누(Rebatching Soap)-한 번 더 순하고 향기롭게~
-만들고 남은 재료나 숙성비누 자투리, 한꺼번에 만들어 놓은 싫증난 비누를 갈아서 물과 함께 중탕으로 녹인 후 첨가물을 넣어 새로운 비누를 만드는 방법으로 크림 타입의 비누나 고체비누를 만들 수 있습니다. 별도의 숙성기간은 없으며 만든 후 바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